임신 중 질염엔 어떤 치료제를?

 

임신 중 분비물의 변화 원인

임신 중에는 여성의 몸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며, 이러한 변화 중 하나가 바로 분비물 증가입니다. "냉"이라고도 불리는 이 분비물은 초기에는 보통 백색이거나 투명하며, 후반으로 갈수록 농도가 짙어져 달걀흰자를 연상케 하지요.

임신 초기에는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상승하면서 질 분비물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임신 초기 신호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하지요.
또한 임신 중반부터 후반으로 갈수록 출산을 준비하기 위해 자궁경부 점막이 두꺼워지면서 '점막 덩어리'라고 알려진 것들이 방출되기 시작합니다. 이것은 흔히 '질 점막' 혹은 '임신 점막'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보통은 백색 또는 약간 분홍색의 젤 같은 질 분비물과 함께 흘러나옵니다.

하지만 모든 분비물의 변화를 마냥 임신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순 없습니다. 만약 분비물에 이상한 냄새, 이상한 색깔(노란색 혹은 초록색 등), 가려움증, 화끈거림 등의 증상이 있다면 질염 혹은 세균 감염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특히 노란색 냉은 임신 여부를 떠나 질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여 생식 기관 내에 염증이 발생했음을 암시하지요. 따라서 이런 변화가 감지된다면 당장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조처를 해야 할 것입니다.
 

질염 종류별 치료제

1. 칸디다 성 질염

임신 중에는 호르몬 수준의 변화로 인해 질 내의 pH 균형이 바뀌어 칸디다 질염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칸디다 질염은 질 내에서 효모인 '칸디다'가 과도하게 증식하여 발생하는 감염입니다.

니스타틴(nystatin),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미코나졸(miconazole) 및 에코나졸(econazole)은 모두 항진균제로서 칸디다 질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 약물에 대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니스타틴: 주로 구강 내 감염(스러시)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지만, 액체 형태로 제공되어 일부 경우에는 외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클로트리마졸: 크림, 로션, 액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됩니다. 임신 중에는 보통 1% 크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하루 1~2번 해당 부위에 바를 수 있습니다.
  • 미코나졸: 역시 크림이나 스프레이 형태로 사용됩니다. 이것은 피부와 점막 아래의 효모와 곰팡이 감염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에코나졸: 마찬가지로 항진균제인데 주로 피부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임산부가 이러한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의사와의 상담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클로트리마졸과 미코나졸은 임신 중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항상 예외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이지요.

2. 트리코모나스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은 성병 중 하나로, 트리코모나스 단세포 원생 충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로 여성의 질과 남성의 요도에서 발견되며, 통상적으로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지요.

트리코모나스 질염을 치료하는 가장 일반적인 약물은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또는 틴다졸(Tinidazole)입니다.
 
  • 임신 중: 메트로니다졸은 임신 중에 사용할 수 있으며 FDA는 임신 분류 B 약물로 분류되고 있는데요. 이는 동물 실험에서 태아에게 해를 끼치지 않았지만, 인간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임산부가 메트로니다졸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태아에게도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지요.
  • 수유 중: 메트로니다졸과 틴다졸 모두 모유에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수유 중인 여성들이 복용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2mg을 한 차례 복용한 다음 24시간 젖을 짜낸 후에 수유를 해야 합니다.

3. 세균성 질증

여성의 질에서 '좋은' 세균과 '나쁜' 세균의 균형이 깨져 나쁜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는 상태를 세균성 질증이라 합니다. 이로 인한 증상으로는 냄새가 나는 분비물과 가려움 등이 있지요.

세균성 질증에 대한 약물은 메트로니다졸과 클린다마이신이 사용되는데, 두 약물 모두 대체로 임산부에게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마다 건강 상태가 다르기에 의사와의 상담과 처방에 따라야 할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억력 좋아지는 음식과 생활습관

난임 원인 해소하여 자연 임신 성공하세요.

여자에게 설사가 잦은 이유와 해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