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 대장증후군? 실제로는 알레르기 질환일 수도
많은 병이 극복된 현대 사회지만 알레르기만큼은 예외인 듯합니다. 이는 우리가 사는 생활 환경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는데요. 과밀한 도시화에서 비롯된 공기 질 악화와 다양한 환경 오염이 누군가에게는 알레르겐, 즉 알레르기 유발 물질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알레르기는 분명 면역계의 자기 방어 행동이지만, 정상적인 반응으로 볼 순 없습니다. 잘 먹던 복숭아, 사과가 어느 날 느닷없이 두드러기, 발진, 구토, 탈진을 초래하는 것은 어떻게 봐도 정상이 아니지요. 알레르기 반응이란 것이 상당히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쯤은 잘 알려졌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알고 있는 범위는 천식, 결막염, 아토피, 인후염, 두드러기 정도에 그칩니다. 하지만 위와 대장에도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위가 알레르기 반응을 겪는다고 하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을 텐데요. 증상만 봐선 위염과 거의 같지만, 원인이 알레르겐에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위염에 맞는 치료를 하여 낫는다고 하더라도 재발이 잦다면, 자신이 평소 즐겨 먹는 음식이 알레르기 유발 음식으로 분류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 업무상 또는 기타 여건상 특정 화학 물질을 자주 흡입하고 있는지도 되돌아볼 필요가 있지요. 물론 가장 우선해야 할 것은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 자신이 어떤 음식이나 물질에 취약한지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참고로 위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물질은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방부제나, 발색제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시작된 위 알레르기가 점차 소장과 대장에까지 번져나간다는 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앓고 있음에도 그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요. 점차 그 원인이 알레르기 물질이라는 의견이 우세해지고 있습니다. 심리적 불편감이 장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장뇌축 이론에 대해 많이들 들어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음식을 지속해서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대장염일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궤양성 대장염, 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