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에 좋은 음식, 영양소

1. 콩은 유방암에 좋을까?

유방암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기에 앞서, 콩이 갖는 영향부터 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이 유방 내 상피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암세포가 증식하기 때문에, 과도한 혹은 장기간의 에스트로겐 노출이 유방암 발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에스트로겐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물질인 이소플라본(식물성 에스트로겐), 또 이소플라본을 풍부하게 함유한 콩류는 유방암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일부 연구에서는 이소플라본이 유방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다른 연구에서는 큰 영향이 없거나 심지어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결론이 갈팡질팡인 것은 이소플라본의 복잡한 작용 방식 때문인데요.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비슷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에스트로겐의 활동을 차단하는 항에스트로겐 성질을 보이기도 하지요.
폐경 여부에 따라, 그리고 유전적 요인에 따라 이러한 복잡한 상호작용들은 다양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에스트로겐 유사 화합물이 풍부한 식물성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폐경 여성의 유방암 발병 위험을 줄인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미 유방암 진단을 받았거나 높은 위험군에 속하는 여성들은 의사 및 전문가와 면밀히 상담 후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유방암에 좋은 음식

유방암이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 만큼, 그 성질을 줄이거나 차단하는 항에스트로겐(anti-estrogen) 성질을 가지는 음식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도 항에스트로겐 물질이 유방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지요.
이에 해당하는 음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십자화과 채소: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콜라비, 배추 등 십자화과 채소는 인돌-3-카르비놀(I3C) 및 다이인돌메탄(DIM) 같은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체내의 에스트로겐 대사에 영향을 줍니다.

② 아마 씨: 아마 씨는 리그난이라는 식물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에스트로겐 활동에 영향을 줍니다.
미국 국립 암연구소 저널의 발표에 따르면, 58,049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리그난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이 가장 적은 섭취 그룹에 비해 유방암 발병률이 17%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③ 콩류: 콩류 (특히 검정콩과 두부)는 이소플라본이라는 식물성 화합물이 특히 풍부한 식품입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이소플라본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알려졌지만 동시에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내기도 합니다.

④ 버섯: 버섯은 아로마테이즈의 작용을 저해함으로써 과도한 에스트로겐 생성을 억제합니다. 특히 양송이버섯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유방암 세포 배양 실험에서 확인되었습니다.

⑤ 석류: 석류에는 엘라기산이란 화합물이 들어있습니다. 엘라기산은 약한 항에스트로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유방암에 좋은 영양소

① 비타민D: 비타민D는 다양한 암, 그중에서도 유방암 예방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포의 정상적인 분열과 성장을 조절함으로써 암세포의 무분별한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암의 주요 발병 원인이 되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도 중요한 이유입니다.

② 오메가3: 보통 심혈관 질환 예방에 좋다고 하는 오메가3는 유방암 예방에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합니다. 비타민D와 마찬가지로 암세포의 분열과 성장을 억제하며 만성적인 염증을 예방하기 때문인데요.
다양한 연구와 메타분석에서 유방암 발병률이 오메가3 지방산에 의해 감소됨이 관찰되었습니다.

③ 식이섬유: 채소와 과일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단백질과 결합한 에스트로겐을 분해하고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 에스트로겐 생성을 유발하는 인슐린 저항성과 비만을 억제합니다.

4. 맺음말

의료 전문가들은 에스트로겐 과다를 유발하는 체지방을 줄이기 위한 규칙적인 운동이 전제되어야 효과적인 유방암 예방과 억제가 가능하다고 조언합니다. 유방암의 적인 비만을 개선하기 차(茶)를 즐겨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체지방 제거에 도움되는 차 (클릭!!)

항에스트로겐 음식을 통한 예방 효과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에 의한 유방암에서만 유의미하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ER-2 양성, 삼중 음성 유방암에는 예방 효과가 없다고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이 전체의 70% 가까이 차지하는 현실에 봤을 때, 어찌 됐든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여성들이라면 해당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기억력 좋아지는 음식과 생활습관

여자에게 설사가 잦은 이유와 해결 방법

난임 원인 해소하여 자연 임신 성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