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와 전당뇨의 차이, 기준, 개선 방법
당뇨, 전당뇨 진단 기준과 차이점 당뇨병이 가지는 치명성은 모두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전 단계인 전당뇨는 어떨까요? 사실 전당뇨가 당뇨로 진행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 할 만큼 그 가능성이 높습니다. 심지어 전당뇨에서도 당뇨 합병증이 관찰되기도 하지요. 그렇다면 굳이 당뇨와 전당뇨를 구분하는 의의가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한 가지를 꼽자면 정상 혈당으로 되돌아갈 수 있느냐, 즉 회복이 가능한지가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과 전당뇨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공복 혈당: 8시간 이상 금식 후 채혈하여 측정. 당뇨: 126mg/dL 이상 전당뇨: 100~125mg/dL ② 경구 당부하 검사: 75g 포도당을 섭취 후 2시간 동안 30분 간격으로 혈당 측정. 당뇨: 200mg/dL 이상 전당뇨: 140~199mg/dL ③ 당화혈색소(HbA1c): 적혈구 내 당과 결합한 헤모글로빈의 정도를 측정. 지난 2~3개월간의 평균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이 검사 방법의 장점. 당뇨: 6.5% 이상 전당뇨: 5.7~6.4% ④ 임의 혈당: 시간과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측정된 혈당. 당뇨: 200mg/dL와 다뇨,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있으면 당뇨병 가능성 높음 전당뇨: 공복 혈당이 100~125mg/dL, 식후 2시간 혈당이 140~199mg/dL 이외에도 당뇨병은 고혈당에 따른 합병증의 발병 여부, 인슐린 저항성 정도 등 다각적인 기준에 의해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대한 당뇨 학회에서는 전당뇨가 1년 이내 당뇨로 진행될 가능성이 10%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10년 이내에는 무려 50%입니다. 혈당 개선을 위해 실천할 사항 ① 금연: 흡연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켜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듭니다. 니코틴이 인슐린 신호 전달 과정을 방해하기 때문이지요. 결국 금연은 혈당 조절의 필수 조건인 것입니다. ② 수분 섭취: 물은 혈당 농도를 희석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액체 이동을 돕습니다. 무엇보다 원활한 대사 작용에 필요한 꼭 필요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