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이며, 예방하는 방법은?

대사증후군이란? 최근 건강 관련 언론 보도에서 많이 언급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대사증후군'이 그것인데요.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급속히 증가하는 것이 대사증후군이란 말을 종종 들어보셨을 겁니다. 혹은 '만병의 근원'이라고도 일컬어지는데요. 대사증후군이란 심뇌혈관 질환 및 당뇨병의 성인병 위험을 높이는 위험 인자를 3개 이상 가지고 있는 상태를 이릅니다. 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혈압 상승: 수축기 혈압이 13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5mmHg 이상. 혈당 상승: 공복 혈당이 100㎎/dL 이상. 이상지질혈증: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150㎎/dL 이상이거나,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수치가 남성의 경우 40㎎/dL, 여성의 경우 50㎎/dL 미만. 복부비만: 허리둘레가 남성의 경우 90㎝, 여성의 경우 85㎝ 이상. 하나하나 떼어놓고 보면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3가지 이상이 해당한다면 결코 작은 문제로 치부할 수 없습니다. 대사증후군에 해당하더라도 당장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게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조치가 따르지 않을 시, 뇌졸중 및 협심증, 심근경색, 고혈압, 당뇨, 만성 신부전의 발병 위험이 커지지요. 이외에도 지방간이나 통풍, 수면 무호흡증 등이 초래되는데요. 여성과 남성에게 각각 다낭성 난소 증후군과 발기 부전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대사증후군의 원인 대사증후군이 명확하게 무엇 때문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인슐린 저항성이 주요인이라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슐린은 근육과 신체 조직의 세포에 포도당이 저장되도록 돕는 호르몬인데요.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이 기능에 장애가 생깁니다. 그 결과 혈당이 높아지는데, 신체는 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됩니다. 이런 악순환 속에 인슐린 기능이 망가지면서 당뇨가 발생하고 이상지질혈증 등의 합병증이 초래됩니다. 스트레스는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잦은 스트레스로 코르티솔 분비가...